검색결과52건
산업

유해물질 기준 초과 어린이 장신구 등 17개 제품 리콜명령

유해 물질 기준치를 초과한 어린이용 장신구 등 17개 제품에 리콜(결함 보상) 명령이 내려졌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국표원)은 지난 9월부터 이달까지 가을철 여행·나들이 관련 수요가 증가한 어린이제품·생활용품·전기용품 등 33개 품목 316개 제품에 대해 안전성 조사를 하고 이같이 조처했다고 29일 밝혔다. 리콜 명령이 내려진 제품은 품목별로 어린이 제품 5개, 생활용품 6개, 전기용품 6개다. 납, 카드뮴,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기준치를 초과한 장신구 2개, 유모차 1개, 어린이용 자전거 1개, 작동 완구 1개가 리콜 대상에 포함됐다. 최고 기준 속도를 초과한 전동 킥보드 1개, 제동 기준에 미달한 킥보드 1개, 충격 시험 기준에 부적합한 승차용 안전모 2개, 휴대용 예초기의 날 1개, 인장 강도 기준에 미달한 등산용 로프 1개도 리콜 조처됐다. 온도 상승 기준값을 초과해 화재나 화상의 위험이 있는 멀티탭 3개와 전기 매트 1개, 과충전 시험 결과 발화 우려가 있는 전지 2개도 리콜 대상에 이름을 올렸다. 국표원은 리콜 조치한 17개 제품의 정보를 제품안전정보센터와 소비자24에 공개해 해당 제품을 사용 중인 소비자가 사업자를 통해 수리·교환·환불 등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또 전국 유통매장 및 온라인 쇼핑몰과 연계된 위해상품판매차단시스템에도 해당 제품을 등록해 시중 유통을 원천 차단했다. 서지영 기자 seojy@edaily.co.kr 2022.11.29 11:06
경제

AP, 미 안전 규제당국 LG엔솔 배터리 리콜 조사 착수

미국의 자동차 안전 규제 당국이 LG에너지솔루션이 제조한 전기차 배터리 조사에 들어갔다. AP와 로이터 통신은 5일(현지시간)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이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를 장착한 차량 13만8천324대를 대상으로 조사를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조사는 제너럴모터스(GM), 메르세데스-벤츠, 현대차, 스탤란티스, 폭스바겐 등 5개 자동차 회사가 2020년부터 LG 배터리 결함 등에 따른 화재 위험을 사유로 연쇄 차량 리콜을 한 데 이은 후속 조사의 일환이다. NHTSA는 LG에너지솔루션은 물론 이 회사의 배터리 장비를 구매한 다른 자동차 업체들에도 연락을 취해 안전 리콜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 기관은 자동차 결함이 발견될 경우 제조업체에 리콜을 명령할 권한을 갖고 있다. NHTSA에 따르면 메르세데스 벤츠는 2020년 2월 LG배터리 셀 내부 결함으로 화재 위험이 크다며 2019년형 '스마트 포투' 전기차를 리콜했다. 현대차도 8개월 뒤 비슷한 사유로 2019년형과 2020년형 코나 전기차 회수 조치에 나섰고, 지난해에는 배터리 전기 단락 현상에 따른 화재 위험으로 코나와 아오이닉 전기차를 대상으로 2차 리콜을 시행했다. GM은 2020년 11월 LG 배터리 제조 결함을 이유로 쉐보레 볼트 전기차 14만대를 리콜했다. 스탤란티스는 지난 2월 수십 건의 차량 화재 신고를 접수하고 LG배터리가 장착된 2017∼2018년형 퍼시피카 하이브리드 미니밴을 회수했고, 폭스바겐은 지난달 2021년형 ID4 전기차를 리콜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블룸버그통신에 제공한 성명을 통해 "NHTSA의 이번 요청은 기존 리콜과 연관해 동일하거나 비슷한 배터리가 공급됐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후속 절차로 알고 있다"고고 설명했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2.04.06 10:23
경제

수입차 '배출가스 조작' 일파만파… 벤츠·포르쉐도 '거짓 광고'

수입차 배출가스 조작 사태가 일파만파 확산하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가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아우디)와 스텔란티스코리아(FCA)에 이어 벤츠, 닛산, 포르쉐 등도 배출가스 관련 거짓 광고를 한 혐의에 대해 제재 절차에 착수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공정위는 최근 메르세데스 벤츠코리아, 한국닛산, 포르쉐코리아의 표시광고법 위반 행위에 대해 과징금 부과조치 등의 제재의견을 담은 심사보고서를 각각 발송했다. 공정위는 조만간 전원회의(법 위반 기업의 제재 수위를 정하는 최고 의결 기구)를 열어 각 사를 처분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환경부는 지난해 5월 벤츠·포르쉐·닛산이 대기환경보전법 위반하고 지난 2012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에서 판매한 디젤 차량 14종 총 4만381대에 위법 행위를 저지른 것으로 판단했다. 당시 환경부는 3사에 인증 취소, 리콜 명령, 과징금 부과, 형사 고발 등의 처분을 진행했다. 공정위는 환경부의 조치 뒤 이들 업체가 아우디, 폭스바겐 등처럼 차량 보닛 안에 규정에 적합하게 제조됐다고 표시했거나 배출가스 허용 기준을 충족한 것처럼 광고해 법을 위반했는지 여부 등을 살핀 것으로 전해진다. 공정위는 사후 인증이 취소됐어도 허위·과장된 표시·광고를 했다면 아우디, FCA의 경우처럼 법 위반에 해당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공정위는 최근 같은 혐의로 아우디·폭스바겐과 스텔란티스 코리아(피아트·크라이슬러 제조·판매사)에 10억6000여만원의 과징금을 부과한 바 있다. 업계에서는 과징금 규모가 매출액과 비례해 결정되는 만큼 관련 매출액이 차이가 나 벤츠의 제재 수위가 아우디나 FCA보다 더 높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배출가스 조작 관련 표시광고법 위반으로 과징금 8억3100만원을 부과받은 아우디는 A8 기종 등 총 1만대가량을 판매했다. 벤츠가 판매한 배출가스 조작 차량은 이보다 많은 3만7154대에 달한다. 닛산과 포르쉐는 각각 2293대, 934대의 배출가스 조작 차량을 판매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1.09.16 07:00
경제

국토부, 제네시스 GV80 등 9개사 총 2만7414대 리콜

국토교통부는 국내외 자동차 브랜드 23개 차종 2만7414대에 제작결함이 발견돼 시정조치(리콜) 한다고 22일 밝혔다. 먼저 현대·기아차에서 제작·판매한 GV80 8783대는 제조공정 중 고압연료펌프에 발생한 흠집으로 인해 내부에 이물질이 생기고, 이로 인해 연료 공급이 되지 않아 시동이 꺼질 가능성이 확인됐다. G70과 스팅어 등 2개 차종 2165대에서도 메인 연료펌프 내부 부품 제조 불량으로 연료 공급이 되지 않아 주행 중 시동이 꺼질 가능성이 확인됐다. 볼보자동차코리아에서 수입·판매한 XC60 7755대는 앞 유리 와이퍼 암 고정 너트 체결 불량으로 와이퍼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아 안전운행에 지장을 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불모터스에서 수입·판매한 푸조 3008 1.6 BlueHDi 등 10개 차종 7612대는 엔진 제어장치와 변속기 제어장치 간 통신 불량으로 엔진 제어장치가 리셋 되고, 이로 인해 시동이 꺼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에서 수입·판매한 파사트 1.8 TSI GP 등 2개 차종 916대는 앞 좌석 등받이 조절 레버가 반대 방향으로 장착돼 등받이 고정이 불안정하고 사고 발생 시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힐 가능성이 있어 리콜된다. 한국GM에서 제작·판매한 트레일블레이저 13대는 앞 좌석 조절 장치 고정 볼트가 일부 누락되거나 체결이 불량해 급제동 또는 차량 충돌 시 탑승자의 안전이 확보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포드세일즈서비스코리아에서 수입·판매한 익스플로러 등 2개 차종 10대는 앞 좌석 등받이 고정 볼트 및 너트가 제대로 조여지지 않아 충돌 시 측면 에어백이 펼쳐지더라도 탑승자를 제대로 보호하지 못할 가능성이 지적됐다. 이밖에 바이크코리아에서 수입·판매한 트라이엄프 스트리트 트윈 등 2개 이륜 차종 127대도 리콜 대상이다. 이들 차종은 차대번호 라벨 보호 덮개가 작게 제작·장착돼 핸들 조작 시 덮개 하단의 돌기와 전기 배선 묶음과의 간섭이 생기고, 이로 인해 등화장치 등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주행 중 시동이 꺼질 가능성이 확인됐다. 모토로싸에서 수입·판매한 두카티 스트리터파이터 V4 S 등 2개 이륜 차종 33대는 발전기 로터(Rotor)의 내구성이 약해 로터가 파손되고 이로 인해 주행 중 시동이 꺼질 가능성이 확인돼 리콜이 결정됐다. 이번 리콜 대상 차량은 제작·판매사 서비스센터에서 무상 수리받을 수 있다. 리콜 전 자동차 소유자가 자비로 수리한 경우 제작사에 비용 보상을 신청할 수 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0.09.22 15:16
경제

환경호르몬 354배,128배 초과...줄넘기·축구공 등 리콜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안전기준치 위반으로 적발된 26개 어린이 제품에 리콜 명령을 내렸다고 26일 밝혔다. 주로 초등학교 등에서 교육용으로 사용되는 교구 17개, 완구류 9개 제품이다.환경호르몬인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기준치를 354배와 128배를 각각 초과한 줄넘기와 축구공, 납 기준치를 8배 초과한 수학용 줄자 등이 적발됐다. 이 제품들은 환경부가 지난해 7월부터 올해 5월까지 실시한 '어린이용품 환경 유해인자 실태조사'에서 적발된 것이다. 국표원은 리콜 명령을 내린 26개 제품의 판매를 원천 차단하기 위해 국표원 제품안전정보센터 및 공정위 행복드림에 제품정보를 공개하고, 위해상품판매차단시스템에도 등록했다. 서지영 기자 seo.jiyeong@joongang.co.kr 2020.08.26 09:09
경제

수입차 지각변동…'주류' 떠오른 볼보, '비주류' 추락한 포드

수입차 시장 경쟁 구도에 지각변동이 일고 있다. 벤츠·BMW·아우디 등 '독일차 천하'인 시장에 스웨덴 브랜드 볼보가 '주류 수입차'로 떠오르고 있다. 반면 지난해 '1만대 클럽' 가입에 실패한 미국차 포드는 올해는 더욱 추락하며 '비주류'로 전락하는 모양새다. 없어서 못 파는 볼보 15일 업계에 따르면 볼보는 지난해 국내에서 1만570대를 판매하며 사상 첫 1만대를 돌파했다. 8년 연속 두 자릿수 성장이다. 올해도 성장세는 이어지고 있다. 올 상반기 전년보다 24.8% 증가한 6524대를 판매했다. 현재도 V60 크로스컨트리, 준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XC40 같은 인기 모델은 심하면 1년 이상 대기해야 구매할 수 있을 정도다.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연간 판매 목표(1만2000대)도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볼보차가 높은 인기를 이어가는 비결은 경쟁 모델을 앞서는 상품성에 있다. 과거 볼보는 '철판 두꺼운 안전한 차'란 인식만 강했다. 디자인도 투박했다. 하지만 최근 나온 볼보 차들은 그야말로 '핫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한 업계 관계자 역시 "과거 볼보는 안전만이 유일한 장점이었다면, 현재는 내구성 뒷받침된 '디자인 혁신'이 소비자의 호평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PPL(간접광고)에 적극적으로 나선 점도 볼보를 대중에서 알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다. 볼보는 지난해 JTBC '효리네 민박'에 XC90 PPL을 진행했다. 당시 이효리, 이상순 부부가 타는 XC90은 연일 화제를 모으며 젊은 층에 새로워진 볼보를 알리는데 일등공신이 됐다. 볼보는 최근 수입차의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사후서비스(AS)를 강화하며 경쟁력 강화에 나섰다. 이윤모 볼보차코리아 사장은 지난달 기자간담회에서 "판매량은 몰라도 서비스 품질에서는 무조건 1위를 하겠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를 위해 2023년까지 1500억원을 투자해 현재 27곳인 서비스센터를 52곳으로, 160곳인 워크베이(작업장) 수를 312곳으로 늘리겠다고 발표했다. 볼보는 우선 분당 판교, 의정부, 제주 등에 서비스센터를 신설한다. 하반기에는 부산 해운대, 수원, 천안 등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팔 차 없는 포드 승승장구하는 볼보와 달리 포드는 해마다 추락을 거듭하고 있다. 포드는 지난해 8737대(링컨 포함)를 팔아, 전년의 1만1586대 대비 24.6% 감소하며 5년 만에 '수입차 1만대 클럽'에서 밀려났다. 시장 점유율도 4.44%에서 3.57%로 감소했다. 올해 상반기 성적은 더욱 초라하다. 올 상반기 3601대(링컨 제외)를 팔아 전년 동기(4732)와 비교하면 23.9% 감소했다. 시장점유율도 2.81% 추락했다. 업계에서는 '초라한 라인업'을 실적 부진의 원인으로 꼽는다. 실제 포드는 스포츠카 머스탱, 세단 몬데오, SUV 올 뉴 익스플로러의 3개의 라인업만을 판매 중이다. 하지만 유일한 기대주이자 최대의 버팀목인 올 뉴 익스플로러는 지난해 말 한국 상륙과 무섭게 리콜(자발적 시정조치) 명령을 받은 데 이어 가격 거품 논란까지 휩싸이며 소비자들의 외면을 자초했다. 특히 올 뉴 익스플로러는 국내 출시 이후에는 '허위광고' 논란에도 휩싸였다. 포드코리아는 지난 11월 올 뉴 익스플로러를 출시하며 자체 ADAS 시스템인 '코-파일럿 360 플러스'에 후진 제동 보조 기능'이 탑재됐다고 광고했다. 후진 제동 보조 기능은 후진 경로에 있는 사람이나 물체 등을 센서로 인식해 경보가 울려도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지 않으면 차가 강제로 정차하는 기능이다. 하지만 신차의 고객 인도가 시작된 이후 온라인 동호회 등에서 후진 제동 보조 기능이 탑재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서 국내 소비자를 우롱한 것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가 커졌고, 포드코리아는 뒤늦게 손해를 입은 차주들에서 50만원 상당의 상품권을 지급했다. 이 과정에서 포드코리아 측이 차주들에게 보상 조건으로 더는 문제를 제기하지 않는다는 내용의 확인서 서명을 요구하면서 파장은 더욱 커진 바 있다. 이 사건 후 한때 수천 대 계약이 밀릴 정도로 높은 인기를 자랑했던 올 뉴 익스플로러는 신뢰도 하락과 함께 지금까지도 판매량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문제는 하반기다. 포드코리아가 부랴부랴 올 하반기 올 뉴 익스플로러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를 들여오지만, 분위기를 뒤집기 어렵다는 것이 중론이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포드는 사실상 익스플로러를 제외하면 팔만한 모델이 없다"며 "하반기에도 이렇다 할 신차가 없어 부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0.07.16 07:00
경제

벤츠도 배출가스 조작…과징금 776억원 '역대 최대'

메르세데스 벤츠코리아가 국내에서 판매한 일부 경유차에서 배출가스 불법 조작 사실이 적발됐다. 환경부는 벤츠, 닛산, 포르쉐가 국내에 판매한 경유 차량 14종 총 4만381대에서 배출가스 불법 조작이 있었다고 판단하고 인증 취소, 결함시정(리콜) 명령, 과징금 부과와 함께 형사 고발 조치할 계획이라고 6일 밝혔다. 벤츠의 경우 C200d(배출가스 인증번호에 따라 2종으로 계산), GLC220 d 4Matic, GLC250 d 4Matic, ML250 BlueTEC 4Matic, GLE250 d 4Matic, ML350 BlueTEC 4Matic, GLE350 d 4Matic, GLS350 d 4Matic, GLE350d 4Matic Coupe, S350 BlueTEC L, S350 BlueTEC 4Matic L 등 12종 3만7154대, 닛산은 캐시카이 1종 2293대, 포르쉐는 마칸S 디젤 1종 934대다. 2012년부터 2018년까지 판매된 이들 경유 차량은 인증 시험 때와 다르게 실제 주행할 때 질소산화물 환원 촉매(SCR)의 요소수 사용량이 줄어들고 배출가스 재순환장치(EGR) 작동이 중단되도록 하는 불법 조작 프로그램이 설정돼 있었다. SCR은 배기관에 요소수를 공급해 질소산화물을 물과 질소로 환원해주는 장치로, 요소수 사용량이 줄어들수록 미세먼지 원인 물질인 질소산화물이 많이 배출된다. 배출가스 일부를 연소실로 재유입시켜 연소 온도를 낮추는 EGR 역시 작동이 중단되면 질소산화물이 과다하게 배출된다. 국내에서 배출가스 불법 조작이 적발된 것은 2015년 11월 아우디폭스바겐의 경유차 15종을 시작으로 이번까지 일곱 번째다. 벤츠의 배출가스 불법 조작이 국내에서 적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환경부는 2018년 6월 독일 교통부의 불법 조작 문제 제기 직후 국내에 판매된 해당 차종에 대해 조사에 착수했고, 다른 차종까지 확대해 지난달까지 조사를 진행했다. 환경부 조사 결과 벤츠 경유차 12종은 차량 주행 시작 후 운행 기간이 증가하면 SCR 요소수 사용량을 감소시키거나 EGR 가동률을 낮추는 방식의 조작이 이뤄졌다. 실제 도로를 주행할 경우 배출되는 질소산화물은 실내 인증 기준(0.08g/㎞)의 최대 13배 이상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닛산과 포르쉐의 배출가스 불법 조작은 이미 불법 조작이 적발된 유로6 차량과 동일한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이들 회사의 유로5 차량까지 조사를 확대한 결과 확인됐다. 앞서 닛산 캐시카이는 2016년 5월, 포르쉐 마칸S는 2018년 4월 각각 불법 조작이 적발된 바 있다. 이번 조사 결과 닛산 캐시카이는 실내 인증기준의 최대 10배 이상, 포르쉐 마칸S는 인증기준의 최대 1.5배 이상의 질소산화물을 배출했다. 환경부는 이달 중으로 이들 차량의 배출가스 인증을 취소한다. 과징금은 가장 많은 차종이 적발된 벤츠에 776억원, 닛산과 포르쉐에는 각각 9억원, 10억원이 부과된다. 특히 벤츠의 과징금은 환경부가 경유차 배출조작으로 부과한 과징금 중 역대 최대다. 환경부 관계자는 "배출가스 차종당 과징금 상한액을 2016년 7월 10억원에서 100억원으로, 2017년 12월 100억원에서 500억원으로 늘렸다"며 "벤츠의 경우 (2015년 11월 적발된) 아우디폭스바겐 판매 대수(12만5천대)보다 적었으나 강화한 과징금 규정이 적용된 차량이 꽤 있었다"고 말했다. 수입사들은 45일 이내에 환경부에 결함시정 계획서를 제출해 승인받아야 한다. 해당 차량 소유자는 이후 리콜 조치를 받을 수 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0.05.06 15:26
경제

가격 거품에 품질 논란까지…포드 익스플로러, 출시와 동시에 '겹악재'

포드의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익스플로러'가 출시와 동시에 각종 악재에 시달리고 있다. 한국 상륙과 무섭게 리콜(자발적 시정조치) 명령받은 데 이어 가격 거품 논란까지 휩싸였다. '수입 대형 SUV 1위' 타이틀 수성에 빨간불이 켜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출시 전부터 제작결함 '리콜' 지난 5일 포드세일즈코리아(이하 포드코리아)는 6세대 익스플로러를 내놨다. 9년 만의 완전변경(풀체인지) 모델이다. 지난 3년간 인기 모델 부재로 판매 부진을 겪던 포드코리아는 신형 익스플로러를 앞세워 실적 회복을 자신했다.정재희 포드코리아 사장은 이날 출시행사에서 경쟁 모델인 한국GM 트래버스를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경쟁 차량이라 생각하지 않는다. 급이 다르다. 기존 판매량 유지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본다"며 자신감을 내비쳤다.노선희 포드코리아 마케팅 및 홍보 상무 역시 "많은 분이 트래버스를 익스플로러의 경쟁 모델로 보고 있지만, 타 브랜드 SUV와 익스플로러는 타깃층이 다르다"며 "국내 시장에서 익스플로러의 경쟁자는 없다고 생각한다"고 했다.하지만 이 같은 자신감은 최근 오만으로 비치고 있다. 잇따른 논란 때문이다. 먼저 신형 익스플로러는 국내 고객에게 인도되기 전부터 리콜 명령을 받는 등 '품질 논란'에 휩싸였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14일 "올해 8월 22일부터 9월 22일까지 제작된 신형 익스플로러 464대의 2열 바깥쪽 좌석 등받이의 안전기준 부적합이 발견돼 리콜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문제가 된 차량은 미판매된 차량으로 결함 시정 후 판매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업계에서는 고객에게 차를 팔기도 전에 리콜부터 해야 하는 사례는 극히 드물다고 입을 모은다. 업계 관계자는 "통상 제품이 팔린 후에 리콜 명령을 받는 것이 일반적"이라며 "신형 익스플로러는 고객에게 리콜한 차를 팔아야 하는 불명예를 안게 됐다"고 말했다.또 다른 관계자는 "포드코리아는 지난 8월부터 신형 익스플로러의 사전계약을 받고 10월 중순경 출시할 계획이었다"며 "하지만 미국에서의 리콜로 출시에 차질이 발생했다. 11월에 신차가 출시된 이유다. 미국에 이어 한국에서도 리콜을 받으면서 상품성에 물음표가 붙었다"고 했다. [한국GM 트래버스. 한국GM 제공] 비싼 가격도 논란 신형 익스플로러를 둘러싼 논란은 이뿐만이 아니다. 북미 대비 지나치게 비싼 가격도 도마 위에 올랐다. 바로 정재희 사장이 무시한 한국GM 트래버스 때문이다. 정 사장의 주장과 달리 익스플로러와 트래버스는 북미 시장에서 경쟁을 펼치는 '동급' 모델이다.우선 두 모델 모두 가솔린 7인승 사륜구동 SUV다.크기도 비슷하다. 전장은 트래버스 5200㎜ 익스플로러 5050㎜이고, 전고는 트래버스 1785㎜ 익스플로러 1775㎜다. 실내 공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축간거리도 큰 차이가 없다. 트래버스가 3073㎜, 익스플로러가 3025㎜로 트래버스가 48㎜ 더 긴 정도다.오히려 7인승 SUV에서 상대적으로 불편한 공간인 3열은 트래버스의 공간이 좀 더 넓다. 3열 레그룸이 트래버스는 851㎜, 익스플로러는 약 818㎜다.적재공간도 트래버스가 우위를 보인다. 트래버스의 1열 뒤 적재공간(2,3열 시트 폴딩)은 2780ℓ, 2열 뒤 적재공간은 1636ℓ, 3열 뒤 적재공간은 651ℓ다. 반면 익스플로러는 각각 2486ℓ, 1356ℓ, 515ℓ다. 파워트레인은 익스플로러가 우세하다. 트래버스는 3.6ℓ 6기통 직분사 가솔린 엔진과 9단 자동변속기가 맞물려 최고출력 314마력 최대토크 36.8 kg.m의 파워를 내지만, 익스플로러는 낮은 배기량의 2.3ℓ 가솔린 터보 엔진과 10단 자동변속기가 결합해 304마력과 42.9kg.m 힘을 낸다. 문제는 '가격'이다. 북미 시장에서 신형 익스플로러 2.3 리미티드의 현지 가격은 3만6675달러(약 4356만원)부터 시작된다. 트래버스는 기본형 L트림이 3만925달러(약 3690만원), 최상위 하이컨트리가 5만3045달러(약 6630만원)이다. 미국 가격도 트래버스가 저렴하다. 반면 국내 판매가격에는 비교적 차이가 크다. 포드코리아가 국내에 출시한 신형 익스플로러 2.3 리미티드 가솔린의 판매가격은 5990만원으로 기존 6세대 익스플로러 2.3 리미티드 가솔린 모델의 5710만원 대비 280만원 올랐다. 이에 비해 트래버스는 LT 레더가 4520만원, LT 레더 프리미엄이 4900만원, RS가 5098만원, 프리미어가 5324만, 레드라인 5522만원이다. 익스플로러와 비교하면 적게는 600만원에서 많게는 1400만원 가량 저렴하다. 익스플로러는 북미 대비 가격을 올려서 판매하는 반면 트래버스는 오히려 가격을 낮춘 탓이다. 이를 두고 일부에서는 포드코리아가 익스플로러의 원가를 공개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수입원가를 공개하지 않아 마진이 얼마나 더 붙는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충분히 가격을 낮출 수 있었음에도 높은 마진의 폭리를 취해오고 있다는 지적이다.업계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미국 현지 모델보다 국내에서 판매되는 모델의 옵션 사양이 다르고, 수입차 특성상 운송비용 등을 고려하면 원가가 비쌀 수밖에 없다"며 "익스플로러가 트래버스보다 약 600만~1400만원 더 비싼 것은 쉽게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라고 했다.또 다른 관계자는 "사실 3.6ℓ 가솔린이 아닌 2.3ℓ 4기통 엔진의 미국산 SUV를 6000만원으로 구매하기엔 다른 선택지가 많다"며 "고질병인 AS문제와 출시 전부터 미국과 한국에서 잇따라 리콜하는 등 품질에 이상 없는지도 여전히 의문"이라고 말했다.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19.11.28 07:00
경제

'화재 위험' 포르쉐 파나메라 2808대 등 리콜

한 대 가격이 2억원대에 이르는 스포츠 세단 포르쉐 '파나메라'가 화재 위험으로 리콜(시정조치)에 들어간다.국토교통부는 포르쉐·혼다·푸조·볼보·BMW·FCA(피아트크라이슬러) 등 6개 수입 자동차 브랜드의 12개 차종·4197대에서 제작 결함이 발견됨에 따라 자발적 리콜이 진행된다고 23일 밝혔다.구체적 리콜 사유를 보면 포르쉐코리아가 판매한 파나메라(970) 2808대의 경우, 에어컨 송풍기 제어장치 실링(밀봉 부분) 사이로 수분이 유입돼 내부 회로 단락에 따른 화재 발생 가능성이 확인됐다.혼다코리아가 판매한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오딧세이' '파일럿' 880대에서는 타이밍 벨트의 코스(벨트와 기어가 맞물리는 부분)가 적정 강도를 확보하지 못해 파손과 함께 엔진이 정지할 위험이 발견됐다.FAC의 지프 레니게이드 BV 440대의 경우 승객 보호 컨트롤러 모듈과 통신 오류(잘못된 명령어 전달) 탓에 에어백이 펴지지 않을 위험이 있었다.한불모터스가 판매한 푸조 508 2.0 블루HDi 등 6개 차종 35대도 리콜 대상이다. 인젝터 레일과 연결된 고압 연료 파이프 너트가 규격에 맞지 않아 연료 파이프 손상, 화재 우려가 제기됐기 때문이다.이밖에 볼보자동차코리아의 XC90 22대는 냉각수 호스 누수 가능성으로, BMW코리아의 i3 94Ah LCI 12대는 동력제어장치 EME의 회로 기판 불량에 따른 구동 모터 전원 공급 차단 위험으로 각각 리콜에 들어간다.리콜 안내는 포르쉐코리아·혼다코리아·에프씨에이코리아·한불모터스 푸조·볼보자동차코리아·BMW코리아 고객 센터에서 받을 수 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tbc.co.kr 2019.05.23 16:24
경제

'국민 요람' 피셔프라이스, '죽음의 요람'으로…한국은?

세계적인 유아 용품 브랜드인 피셔프라이스가 유아 사망 사고를 일으킨 것으로 지목된 전동식 요람을 대량 리콜 조치했다. 피셔프라이스는 국내에서 '국민 요람'이란 애칭이 있을 정도로 인지도가 높은 브랜드여서 소비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국민 요람' → '죽음의 요람' 미국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는 지난 13일(한국시간) 피셔프라이스의 '로큰플레이' 요람 470만여 개가 리콜 처리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이 제품에서 아기들이 몸을 뒤집었다가 천에 감겨 질식 등으로 숨진 사고가 지난 10년간 30건 넘게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제품은 2009년부터 40∼149달러대의 가격에 시판돼 인기를 끌었다. 위원회는 이 제품을 구매한 이들이 사용을 즉각 중단하고 환불을 요구해야 한다고 밝혔다.비단 CPSC뿐이 아니다. 지난 9일에는 미국소아과학회(AAP)도 이 제품이 '치명적'이라고 판정하면서 리콜을 요구했다. 협회에 따르면, 제품을 사용한 유아 중 32명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협회는 성명서를 내고 "이 제품은 유아에게 아주 치명적이며 즉시 리콜 조치돼야 한다. 유아 사망이 계속 발생하기 때문에 3개월 이상 된 아이의 부모는 이 제품 사용을 중지해야 한다"며 "아이의 안전한 수면을 위해 아이 혼자 자도록 내버려 둬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그러나 피셔프라이스는 되레 큰소리친다. 2015년 이후 이 제품을 사용하다가 숨진 아기가 10명 정도에 그치고, 막 뒤집기를 시작한 3개월 미만의 신생아뿐이었다는 것이다. 모기업인 마텔은 성명을 내고 리콜이 자발적으로 이뤄졌다면서도 제품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다. 사망한 아기들은 보호자가 제품설명서에 명시된 주의 사항을 지키지 않아 벨트로 몸이 고정되지 않은 상황 등에서 몸을 뒤집었을 뿐이며, 제품 자체에는 이상이 없다는 것이다. 해외서 문제 된 유아 용품…국내는 무방비 문제는 이 제품이 국내에도 유입됐을 것으로 보인다는 데 있다. 14일 현재 포털 사이트에 로큰플레이를 검색하면 해외 구매 대행 등을 통해 한국에서도 판매되고 있다. CPSC가 최근에야 리콜을 명령했기 때문에 한국소비자원 등에서 확인과 조처를 하는 데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5세 여아를 자녀로 둔 김영주(회사원)씨는 "피셔프라이스는 '국민 요람'으로 불릴 정도로 국내에서도 인지도가 높은 브랜드다. 이번에 문제가 된 제품은 아니지만 우리 집에서도 사용했다. 아이가 태어난 집에 가장 많이 선물하는 브랜드 중 하나가 피셔프라이스"라면서 "'벨트'를 차면 안전하다고 하는데, 애 키우는 집에서 벨트를 못 차는 날도 있고 실수로 풀어지는 사례도 있을 것이다. 솔직히 걱정된다"고 말했다.해외에서 안전 문제로 리콜된 제품이 국내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유통·판매된 사례는 과거에도 많았다.한국소비자원은 지난 2월 2018년 한 해 동안 유럽·캐나다·미국 등 해외에서 리콜된 결함·불량 제품의 국내 유통 여부를 모니터링해 총 132개 제품에 판매 차단·무상 수리·교환 등 조치를 취하도록 시정 권고했다.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시정 조치된 132개 제품 중 아동·유아 용품이 38개(28.8%)로 가장 많았고, 이 중 51.3%는 부품 삼킴의 우려로 시정 조치를 받았다.특히 아동·유아 용품 38개 중 노리개 젖꼭지 줄·딸랑이·바운서·치발기·유아 식탁의자·유모차·유모차 시트·유모차용 모빌·목욕 장난감·모빌 등 아기와 밀접한 용품이 20여 개에 달해 우려를 샀다.한국소비자원은 "해외 리콜 제품은 글로벌 온라인 유통사를 통해 유통·판매되는 특성상 이미 판매가 차단됐더라도 다시 유통될 가능성이 있다"며 "기존 판매 차단 제품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 유사·동일 제품의 재유통 여부를 확인하고 추가 조치하는 등 사후 감시를 강화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서지영 기자 seo.jiyeong@jtbc.co.kr 2019.04.15 07:0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